지식나눔
🔥 생활꿀팁 7편 – 전기장판에서 타는 냄새 날 때 대처법
Filthy rich
2025. 4. 17. 21:06
✅ 생활꿀팁 7편
전기장판에서 타는 냄새 날 때 – 절대 그냥 넘기면 안 되는 이유
날씨가 쌀쌀해지면 자주 찾게 되는 전기장판.
그런데 사용 중 타는 냄새가 난다면, 그건 단순한 문제가 아닙니다.
누전이나 과열로 인한 화재 전조 증상일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즉시 점검이 필요해요.
1. 전기장판 전원 즉시 차단
타는 냄새가 나면 무조건 전원 코드를 뽑아주세요.
소리가 없어도 냄새가 나면 내부 발열로 인한 손상이 진행 중일 수 있습니다.
안전한 곳에 펼쳐서 식혀두는 것도 중요합니다.
2. 코드 상태 확인
전기장판 코드가 접힌 채로 사용되었거나, 눌린 자국이 있는 경우
피복이 벗겨지면서 내부 합선이 발생할 수 있어요.
코드가 뜨겁거나 노랗게 변색된 경우에는 즉시 사용 중지!
3. 오래된 제품은 수명 초과
전기장판도 수명이 있습니다.
대부분 5년 이상 사용한 제품은 발열선 피복이 손상될 수 있어요.
사용 연한이 오래되었고 냄새까지 난다면 교체가 가장 안전한 선택이에요.
4. 보관 상태 점검
겨울철 사용 후 접어둔 전기장판을 다시 꺼냈을 때 접힌 부분에서 타는 냄새가 나는 경우,
발열선이 꺾이거나 끊어져서 합선 가능성이 있습니다.
항상 말아서 보관하는 게 기본이에요!
5. 안전인증 확인 및 정품 사용
시중에는 비인증 저가 전기장판도 많이 유통되고 있어요.
구입 시에는 KC 인증 로고 확인, 그리고 제품 설명서에 과열 방지 센서 유무를 반드시 체크하세요.
💡 마무리 정리
- 타는 냄새 = 즉시 전원 차단
- 오래된 제품일수록 교체 고려
- 접히거나 눌린 자국은 위험 신호
- 사용 전 항상 상태 점검은 기본!
🏷 태그
#전기장판 #타는냄새 #생활꿀팁 #화재예방 #전열기구점검 #겨울철안전 #전기제품관리 #티스토리팁